재테크

재테크 초보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10가지 정리

Rainbow archive 2025. 7. 13. 18:00

 

아무것도 모른 채 시작하지 마세요! 재테크의 뼈대를 잡아줄 기본 용어들

재테크를 시작하려는 초보자들에게 가장 먼저 필요한 건
복잡한 투자 전략이 아니라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입니다.
핵심 개념을 알면 뉴스도 읽히고,
투자 상품의 구조도 보이기 시작합니다.
지금부터 재테크의 기초를 잡아줄
가장 중요한 용어 10가지를 정리해드립니다.


1. 자산과 부채

자산은 내가 가진 돈, 부동산, 예금, 주식 등
가치를 가진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부채는 갚아야 할 빚, 대출, 카드값 등을 말합니다.
재테크의 시작은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 관리입니다.


2. 복리(Compound Interest)

복리는 이자에 이자가 붙는 구조입니다.
10%의 이율로 100만 원을 투자하면
1년 뒤 110만 원, 2년 뒤 121만 원처럼
시간이 지나며 수익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합니다.

구분 단리 복리

1년 후 110만원 110만원
5년 후 150만원 161만원
10년 후 200만원 259만원

3. 리스크(Risk)

리스크는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수익이 높을수록 리스크도 높아지기 때문에
수익률만 보지 말고, 위험 수준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4. 분산 투자(Diversification)

한 곳에 투자하는 것보다
여러 자산에 나눠 투자하면 위험이 분산됩니다.
주식, 채권, 금, 부동산 등을 혼합하면
어느 하나의 자산이 급락해도 전체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5. 유동성(Liquidity)

유동성이란 돈으로 바꾸기 쉬운 정도를 말합니다.
예금은 유동성이 매우 높고,
부동산은 팔기까지 시간이 걸려 유동성이 낮습니다.
재테크에선 유동성과 수익률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6. ETF(상장지수펀드)

ETF는 주식처럼 거래되지만
여러 종목에 분산된 펀드입니다.
초보자도 소액으로 다양한 기업에 분산 투자할 수 있는
가장 실용적인 금융 상품 중 하나입니다.


7. 연금저축·IRP

세금 혜택과 노후 준비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절세형 장기 투자 상품입니다.
소득이 있다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고
연말정산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는 재테크 1순위 상품입니다.


8. 수익률과 실질 수익률

표면적인 수익률이 높아 보여도
세금, 수수료,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한
실질 수익률이 더 중요합니다.
항상 “내가 실제로 얻는 수익”을 계산해야 합니다.

항목 수익률(%) 실질 수익률(%)

A 펀드 8 5.6 (세금·물가 반영)
B 예금 2 0.8 (실질 가치 하락)

9. 위험 회피 성향과 공격 투자 성향

자신이 얼마나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지
투자 성향을 파악해야 맞춤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안정형은 채권, 예금 중심
공격형은 주식, 암호화폐 등 변동성 있는 자산에 적합합니다.


10. 리밸런싱(Rebalancing)

자산 구성 비율이 바뀌면
처음 설정한 비율로 주기적으로 재조정하는 작업입니다.
예: 주식이 지나치게 올라 80%가 됐다면
일부를 팔아 채권이나 예금으로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결론: 개념을 아는 만큼 눈에 보이고 판단도 빨라진다

재테크는 감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
기초 개념을 확실히 익히면
수익률도 올라가고, 실패 확률도 현저히 줄어듭니다.
하루 10분, 용어 공부만으로도 당신의 재무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